본문 바로가기
역사(History)/드라마 속 역사

"태종 이방원"속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생애

by JANE! 2022. 3. 16.

사진출처: KBS 태종 이방원 공식 홈페이지

1. 태조의 생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고려 말기 함경도 영흥 지방에서 태어났습니다.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은 고려 말 원나라의 국력이 예전만하지 못하자 공민왕과 접선하여 쌍성총관부의 공격에 동참하고 그 지역을 수복하는데 일조하여 고려의 공신이 됩니다. 이성계는 성년이 되어 아버지 이자춘이 사망한 후 가문을 이어받아 훌륭한 장수로써 최영과 함께 고려의 수호신으로 불리게 됩니다. 특히 이성계의 활 솜씨는 고구려의 주몽과 비견될 만큼 뛰어나 '신궁'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30여 년 동안 수차례의 전쟁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고 알려질 정도로 명장 중의 명장이었습니다. 혁혁한 전공을 세우던 이성계는 최영과 함께 정적을 제거하고 고위직에 오릅니다. 이렇듯 한 때 최영과 한 배를 탔었으나 우왕과 최영의 명령으로 요동정벌에 나서야 할 상황이 되자 '사불가론'을 내세워 그 명이 합당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묵살당합니다. 요동정벌에 회의적이었던 이성계는 결국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과 최영을 몰아내고 창왕을 옹립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창왕이 공민왕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논리로 창왕 역시 폐위되고 고려의 종묘사직은 공민왕의 정비였던 안씨에 의해 국새를 받아 고려의 사직을 이어받게 됩니다. 이렇게 새 왕조를 개창한 태조는 곧 세자 책봉의 문제에 직결하게 됩니다. 태조는 정비 소생으로 여러 왕자를 두었기 때문입니다. 태조는 첫 번째 부인이지만 사별한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아들들이 아닌 새로 장가든 신덕왕후 소생의 왕자로 세자를 책봉하였습니다. 이는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아들들을 분노케 하였고, 특히 조선 건국에 가장 지대한 공을 세운 이방원의 반발이 컸습니다. 이방원은 결국 왕자의 난을 일으켜 신덕왕후 소생의 왕자들을 제거하고 자신과 동복형제였던 이방과를 조선 제2대 국왕으로 옹립합니다. 이 후 이방원은 한차례 더 난을 일으켜 왕세자로 책봉되어 다음 왕위를 이어받습니다. 이런 이방원의 행보가 마땅치 않았던 이성계는 조사의의 난을 일으키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아들 이방원과 화해한 후 절과 온천 등을 유람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1408년에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2. 태조와 관련된 무기들

태조 이성계는 무인출신인 만큼 사용했던 것으로 전해지는 무기가 전해집니다. 현존하고 있는 것은 전어도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습니다. 전어도는 태조가 실제로 사용했던 칼은 아니고 아들인 태종이 아버지에게 다시 제작하여 선물한 칼이라고 합니다. 이전에는 전어도 말고도 용두검이라는 검도 경기전에 있었다고 하지만 도난당한 이후 행방을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사진으로만 남아있는 태조의 무기도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 버금가는 신궁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유명세에 걸맞게 사용했던 어궁구도 일제강점기까지 보존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전쟁 중 보관하던 곳이 불타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어궁구는 흑백 컬러의 사진으로만 남아있습니다.

3. 태조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

태조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흥미로운 이야기로는 태조의 아들 중 한명이 명나라 황실과 사돈을 맺을 뻔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일화는 태조실록에도 전해져 내려오는데 명나라 주원장의 딸과 이성계의 아들 사이에 진지하게 사돈 관계가 되는 것을 논의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는 무산되었으나 명 황실과 직접적인 혼사 이야기가 나왔었다는 것은 꽤나 흥미롭습니다. 그 밖에도 태조 이성계는 격구도 굉장히 잘했다고 합니다. 격구란 말을 타고 막대기로 공을 치는 스포츠로 이성계는 무인 출신답게 이 격구에 뛰어났다고 합니다. 그에 대한 기록은 마찬가지로 태조실록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조선이 전반적으로 불교를 배척한 나라인 것과는 달리 태조의 경우 불교를 좋아했다고 합니다. 불교를 싫어했던 아들 태종이 불공을 꼭 밖에서 드려야겠냐고 묻자 왕자의 난으로 잃은 두 아들과 사위를 언급하며 태종에게 화를 내었다고 합니다. 한 왕조를 끝내고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주인공답게 태조 이성계는 여러 드라마로 만들어졌습니다. <태종 이방원>에서도 상당히 비중 있는 역할로 나오고 있으며, 태조 이성계가 단독 주인공이었던 드라마도 전부터 많이 만들어져 왔습니다. 앞으로도 태조 이성계에 대한 드라마 및 영화는 계속해서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태종 이방원>에서 태조는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기대가 됩니다.

댓글